1 한국인
2 중국인
3 조선족
4 일본인
5 미국인





정답은???






바로바로






4 일본인




www가 있으니 당연히 일본인인거 아냐? ㄴㄴ
www를 빼고봐도 일본인이기 때문임



일본인의 한국에대한 분석은 징용징병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재일교포와 시대상으로는 90년대 00년대 한국에 멈춰있음.
대다수의 한국인은 모르겠지만 일본인이 비꼴때 항상 '우리'라는 연대의식과 공동체의식을 비꼼. 특히나 일본은 혹가이도를 정복하고 류큐를 식민지로 삼았기 때문에 타국가 이민족을 병합한 역사가 있어 동일체 개념으로 '우리나라'라고 하지 않고 제3국처럼 '일본'이라 부르고 뭔가 내나라 그럴때 我が国라고 쓰긴하지만 대체로 일본으로 칭함.
중국역시 내집단 구분이 확실해서 우리나라 니네나라 잘만함.
https://insweet.tistory.com/588

우리나라 개념에 대해 한미중일 비교

외국인이 '우리나라'를 지네 나라로 가리키는게 아니라, 한국을 가리키는걸로 받아들인다며 조롱. 어떤 외국인은 자기가 이만큼 한국화 됐음을 보여주기 위해 우리나라를 한국이란 의미로 자주

insweet.tistory.com



한국의 정 문화는 자칭타칭 알려져 있고 일본은 가족이라도 거리가 있어 발벗고 다해주지 않음. 중국은 정말 한국보다 더 사사롭게 해달라고 하는게 더 많음.
아이고. 가타카나(외국어,강조할때 쓰이는 일본문자)가 없는 한글에 강조하고 싶어 일부러 로마자로 씀. 중국어로 치자면 놀람 당황 걱정 한탄 등 다용도로 쓰이는 '哎呀아이야' 치환가능함. 영어에선 omg, 하지만 일본어엔 없음. 세대에 따라서 다르지만 일본의 한국문화분석이 정체되다 못해 낡다보니 여전히 그런줄암. '우리'와 함께 자주 언급됨.

웹툰 댓글인데 일본인도 일상적으로 깊숙히 침투했구나 새삼 느낌
https://m.comic.naver.com/scrolltoon/comment?titleId=781354&no=17



설정

트랙백

댓글

보호글

练习

2022. 2. 17. 00:33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순간의 선택이 평생을 좌우한다가 어릴적 나의 좌우명이었다. 그리고 사회초년생이후부턴 인생은 속도가 아닌 방향이다.
그리고 요즘 드는 생각은 인생을 결정하는건 행동력이다. 나는 너무나 많은걸 알고있고 실패의 가능성을 계산하고 극도의 안정형을 선호하는 기질이 있다. 이는 투자에도 마찬가지여서 푼돈투자 위험에도 수없이 고뇌하고 결과적으로 저축외에 아무것도 하지 않은채 껄무새만하고 있었다.
투자 외로는 바뀌었다. 전에 하지 않았던 것 위주로 하고 있고 평소라면 사지 않을 것들을 사고있다.

결정의 중심축이 가격효용성과 만족적최대치였는데 미적최대치로 중심축을 옮기고 시간의 효율과 생산성으로 내 안의 판도가 뒤바뀌었다.
여가시간에 시간관리도 지금과는 다르게 꽉채워보려한다. 여전히 삶은 쳇바퀴지만 달라진만큼 달라지지 않을까.

설정

트랙백

댓글


https://youtu.be/lyBI5bGf48Y

부정올림픽 기념 2월 12일 개봉
[날아라, 빙상의 빛]
찌질이가 쇼트트랙에 빠져 국대에 뽑혔는데 한국선수의 반칙으로 부상을 입고도 공산당 정신으로 극복하고 승리한다는 내용

날조가 일상화되다보니 대가리에 총맞았군뇨


극중에서 대놓고 반칙하는 한국 악역캐릭터
*예고에선 어깨빵뿐이지만 본편에선 발걸기+스케이트날로 그음



미친
반칙국주제에 감히 얻다대고 뒤집어 씌워
왕멍
양양A
리자준
판커신
중국 상습 반칙 선수 계보


https://youtu.be/YKQlguOTBNI

https://youtu.be/iTerrMwXbtY

지나족식 애국
반칙이 중국이고 중국이 사탄이다.
반칙계보가 있을정도로 저열한 중국의 현실과 괴리된 영화보면서 자위할 생각을 하니 현실자아 부정이 극에 달한듯



2022년 베이징 올림픽 현실

넘어진 한국선수 손에 스케이트날 갖다댐

11바늘 꿰맨 박장혁선수 왼손
https://amp.seoul.co.kr/m/20220208500011

왼손 11바늘 꿰맨 ‘쇼트트랙’ 박장혁…“남은 경기 출전 의사 밝혀”

▲ 실려 나가는 박장혁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 박장혁이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 사흘째인 7일 오후 중국 베이징 캐피탈 실내 경기장에서 열린 쇼트트랙 남자 1000m 준준결승 1조 경기에서 넘

amp.seoul.co.kr

남은 경기 출전의지를 불태워 계주 은메달

혼자 헐리우드 액션


대놓고 퍽투척 반칙의 신기원 창조


대놓고 손빵




☆사실확인☆

응 중국내부 팀킬 실화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2020918540002809?did=GO

주한중국대사관 “반중 감정 부추기지 마라”…쇼트트랙 판정 불만 한국에 일갈

주한 중국대사관이 9일 쇼트트랙 판정 논란과 관련 “한국 언론과 정치인은 반중 감정을 부추기지 말라”고 일갈했다. 대사관 측은 이날 위챗 공중계정에 올린 ‘베이징올림픽 쇼트트랙 심판

m.hankookilbo.com

한국에다 대고 반중감정 부추기지 말라더니,
뒤로는 거짓 날조 픽션으로 반한감정 조장하는 중국



후진국 컴플렉스는 치유할수 있습니다






설정

트랙백

댓글

발렌타인데이 안챙기는데 꽃 뭐좋아하냐고 그래서 띠용
나 뭐좋아했었지?
한굿에서 꽃선물=장미 여서 그동안 꽃바구니 선물 죄다 아묻따 장미였었는데 질문받은 적도 없음
한송이 선물은 어릴때 받아보고 그후론 꽃바구니였었음
사실 꽃을 좋아하긴하지만 어릴때 꽃 나무 원없이 봤고 별로 미련은 없다
시들어서 싫다 말하면 꽃대신 꽃모양 조명, 꽃모양 비누 이런거 받았었다.
조화줬던 애도 있었는데 그럴거면 생화나 꽃모양 악세사리가 낫지 조화는 별루.
근데 나 뭐좋아했었지...?

설정

트랙백

댓글

泡菜 파오차이 절임채소X
辛奇 신치 뜻고려한 김치의 중국어이름O

설정

트랙백

댓글

못쳐배워서 어디 반말질이냐
대사관조차 소양이 지나족 그자체

설정

트랙백

댓글

~할래 ~할거야 외에 ~할테야도 있었는데 수도권에서 급속도로 빈도가 줄면서 구어에서는 사멸되다시피하고 문어에서 간간히 보이는데, 옛날 90년대 이미 사멸이 진행된 상태라 드라마에서나마 다소 실생활 말투와 괴리되더라도 쓰였다.

~테야는 왜 사멸했을까 생각해보았다.
옛날에도 교과서에서나 볼법한 말투라 문어적 느낌이 강함
아이화자가 의지를 다짐하는 듯한 어감이라 아이시기가 지난 나이에 입에 붙기 어려움.
~할래/할거야 는 단순 미래적 의지를 표현하는데 테야는 의지가 확고한듯한 인상을 주고 확신하는 뉘양스로 말하기 꺼려하는 심리.

충청도의 ~할텨 전라도 ~할쳐
한음절 줄어든 압축의 경제성
수도권에 비해 언어간섭이 활발하지 않음
수도권은 아이화자가 발화하는듯한 어감이 세대구분 없음
강한의지의 표현이 아닌 단순 의지
할래-할텨/할쳐와 상당부분 양분하고 있고 할거야는 분리되어 따로씀.


설정

트랙백

댓글

비공개 한적 없는데 멋대로 비공개로 돌린 깨깨오


https://youtu.be/u7E_8m9EuH4?si=URmu1x3IDQuFaYL6


如果中国有朝一日变了颜色*,变成一个超级大国,也在世界上称王称霸*,
만약 중국이 어느날 시국이 바뀌고 초강대국으로 변모하여 패권을 잡아 오만하게 군림하며

到处欺负人家,侵略人家,剥削人家,那么,
이곳저곳에서 남을 괴롭히고, 남을 침략하고, 남의 것을 착취한다면,

世界人民就应当给中国戴上一顶社会帝国主义的帽子*,就应当揭露它,反对它,
세계의 모든 인민들은 응당 들고일어나 중국을 '사회제국주의'란 딱지를 붙이고,
그것을 까발리고
그것에 반대하며

并且同中国人民一道,打倒它。
그리하여 중국 인민들과 함께 그것을 무너뜨려야 한다.

-1974년 4월 10일 UN 등소평 연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变颜色 변 안색 색을바꾸다
1.얼굴빛을 바꾼다.인간의 다양한 내면 활동(경외, 두려움, 슬픔, 분노 등)의 반영이다.
2.피부 색상을 바꿉니다.카멜레온, 개구리 등과 같이 색을 보호색으로 바꾸다.
3. 시국이 바뀌거나 정권이 바뀌는 것을 비유한다.

*称王称霸 칭왕칭패
직역 : (스스로) 왕으로 칭하고, 폭군이라 부름
의미 : 고대 동맹왕들의 제왕. 권세를 가지고 횡포를 부리거나, 오만하게 두목행세 하며 남을 업신여기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출전 :삼국지 조조- 양현자명본지령
"나라에 제왕이 없다면 얼마나 많은 사람이 황제라 칭할지, 또 얼마나 많은 사람이 왕이라 떠들고다닐지 모릅니다. " 송나라 왕원량 [독사:역사를 읽다] "유항이 칭왕칭패하자 관우와 장비는 공도 없이 목숨을 잃었다. "
양현자명본지령(숙지령) : 조조가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엮은 자서전

*帽子 모자
(1) [모자] : 보온, 비, 자외선 차단 또는 장식을 위해 머리에 쓰는 것
(2) [브랜드;라벨] : 부정적인 이름
(3) [딱지] : 범죄에 대한 은유나 특정한 표식이 붙은 명칭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973년 등소평은 주은래의 추천으로 국무원 부총리가 되어 복권됐다. 모택동은 등소평이 유소기와 달리 자신의 사상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했다. 등소평은 문혁 극복을 위해 외교와 경제 전반에 나섰지만, 주은래 사후 1976년 1차 천안문 사태의 배후로 지목되어 다시 실각됐다. 이후, 모택동의 죽음과 함께 국정에 복귀했고, 1978년 74세의 나이로 온전한 중국의 통치자가 되어 20년간 중국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등소평은 문혁 10년간 하방하며 ‘사회주의를 건설한 지 이미 20년이 넘었는데 노동자의 가정이 라디오 한대 조차도 살 수 없다’는 현실에 개탄했다. 그는 정치 성과는 경제 상황의 개선을 통해 평가해야 한다며, ‘한 지방, 한 단위의 생산이 아주 나쁜데 혁명을 대단히 잘했다고 말한다면 그것은 사람을 속이는 허튼소리라는 것’이란 말로 자신의 통치 이념을 밝혔다.

등소평은 62세에 문화대혁명, 72세에 1차 천안문 사태로 쫓겨났지만, 2번의 위기를 넘기고 결국엔 지금의 중국을 만들어냈다. 극한 이념과 권력욕에 뒤섞여 침체의 늪에 빠진 중국을 건져냈다. 다만, 중국 민주화를 열망한 1989년 천안문의 중국 민중을 잔인하게 총칼로 진압한 것은 그의 과오이자 현대 중국의 모순으로 남았다.
http://www.jj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11733

등소평(등용 지음)을 읽고 - 전주일보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 가장 큰 무역 규모와 외환보유고. 중국은 경제력과 국방력에서 미국을 쫓는 두 번째 국가가 됐다. 냉전 종식 이후 오랜 기간 미국 1강의 초일류 패권 시기를 넘어 이제

www.jjilbo.com



등소평 변절
74년 UN연설 ☞76년 1차 천안문 배후☞80 광주민주화운동☞89년 2차 천안문 100만명 학살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민주화 바라는 유일한 중국인 친구가 존경하는 등소평. 모택동이랑 등소평, 류샤오보, 손중산(손원), 장개석, 마윈(기업가) 얘기 해줬었는데 진짜 중국인은 자유와 민주주의 그리고 평화를 원함.
https://insweet.tistory.com/480

진짜 중국인

https://youtu.be/LxAyLEIr0S0 신호년 xin haonian 천안문 혁명을 했던 사람도 중국인이고, 내주변에 한국의 민주화 했듯아 언젠가 중국도 해낼거라고 믿고 유일하게 민주화를 꿈꾸며 공산당의 부패를 비판

insweet.tistory.com



중국에서 모택동은 중국인 굶겨죽인 학살자가 아닌 신격화 성역화 되어있어서, 진짜 성품좋은 중국인도 모택동 영정사진천안문 광장에 영원히 모셔져 있어야한다고 그런소릴함. 등소평은 1차민주화 운동으로 당에 찍혀서 자본주의 전향해 먹고살게 해준 장본인인데 모택통처럼 신격화 대상은 아님. 아 근데 손중산과 장개석 평판은 내륙중국인 다 똑같더라. 손중산 짱 장개석 루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등소평 발음이 보통화와 달라서 충격 왠지 광동어도 구사할거같음 권설음도 제대로 안하고 남방 사람인가 했더니 사천사람인데 사천에는 사천어 객가어 관화방언이 있다함. 암튼 사천지방사람들은 shi-si구분 잘 안하고 흘려말해서 알아듣기 힘들던데 등소평 연설은 보통화 발음과 확연히 다른데도 귀에 쏙쏙 꽂힘. 중국어는 복모음이 특징인데 단모음화 시켜 한국어 발음에 근접. 上샹을 상으로, 有요우를 유로 특히 人를 런이 아니라 인으로 발음해 한국어와 비슷한 인상.

설정

트랙백

댓글

그게 몇년전에 어떠한 계기로 끊김.
나는 새음악보단 좋아하는 장르 위주로 들음.
그래서 팝송추천글 보고 친구와 공유했는데 구리다고 올드팝이라고 해서 충격받음. 정작 그곡은 생각안나네...
그 이후로 팝으로 시대 구분하기 시작함. 미국은 발매직후 유행하는데 반해 90년은 tv에 소개되는 팝송은 정해져있었음. 00년대~지금 스트리밍서비스는 있으나 권리사의 제한에 19금파티라... 그걸 뛰어넘은게 유튜브인거같다. 삐와 자막으로 순화. 스포티파이로 옛날팝 듣는데 진짜 시대감 물씬. 듣는귀 트여서 베이스로 뭐썼고 이부분 저스타일이 한국에서 어떻게 유행탔는지 다 보임.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