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C 송나라 손목이 쓴 계림유사
한아비-할아버지
한아미-할머니
아비-아버지
어미-어머니
아자비-남자어른
아자미-여자어른
아달-아들
보달-딸
아아-아우
아촌아달-손주 *후에 아차나달(조카아들),아찬딸(조카딸)로 변화

형제자매들 사이에도 처음에는 성별에에 관계없이 나이의 위아래를 따라서 언니와 아우라고만 불렀으나 형제자매들 사이에 혼인이 금지되면서부터 남녀를 구별하여 누이와 오빠라는 말이 생겨났다. 형 호칭은 생각보다 오래되지 않았다. 남성도 손위사람을 언니로 부른것은 1950~60년대까지 남아있었으나 급속도로 형호칭이 고착화되고 언니 호칭은 범위가 제한됐다.


북한의 가족호칭
북한말은 우리말 고유어를 살리고 평양을 중심으로한 표준어를 지정하였다. 동생대신 우리말 '아우' 사용빈도가 높다. ‘가시(안해)’와 ‘버시(남편)’라는 전통적인 고유어를 사용한 호칭이 남아있다. 가시의 어원은 꽃의 순수우리말로 여성을 꽃에 빗대어 쓰기 시작하다 여성으로 완전히 의미가 전용되었다.

가버시-부부
큰아버지,맏아버지-큰아버지
큰어머니,맏아버지-큰어머니
사돈님/바깥사돈님-사돈/사돈어른
안사돈/안사돈님-사부인
제수/제수님/아주머님-제수씨
형님-새언니
올케/오레미/이름/조카이름+엄마-올케
형/형님/조카이름+어머니-시가의 손위동서
동서/동생/아우/조카이름+어머니-시가의 손아래동서
형님/누이/자식이름+고모-남편의 누나
누이/동생/자식이름+고모/조카이름+엄마/자식이름+엄마-아가씨
아재/아저씨/자식이름+고모아저씨/자식이름+고모부/성씨+선생-아주버님(남편 누나배우자)/서방님(남편 여동생배우자)
적은이/자녀이름+삼촌-도련님(미혼)/서방님(기혼)

남한과 달리 사돈과 남동생의 부인에게 제수님, 시누이도 오빠의 아내를 형님으로 부르는 등 존칭도 쓴다. 남한에선 자식이름과 자식의 호칭을 빌려 호칭하는 것을 예법에 어긋난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북한은 규범에 적절한 호칭이다. 남편 누나의 배우자에 존칭대신 남자 친족을 일컫는 아재와 아저씨를 부르거나 자식을 둘러 사용할수 있다. 성씨+선생은 남한 가족호칭에선 볼 수 없는 존중호칭. 남편의 동생에게 존칭없이 적은이라는 고유어를 쓰고있다.


가시집-처가
아버님/가시아버지-아내의 아버지
어머님/가시어머니-아내의 어머니
자네/임자-성씨+서방(사위)
본가(집)아버지-친정아버지
본가(집)어머니-친정어머니
형부님/아저씨-형부
자식이름+아빠/조카이름+이모부-제부
매부/이름-매부/매제
아주머니/자녀이름+큰어머니/자녀이름+이모-처형
이름/조카이름+엄마/조카이름+어머니/자녀이름+이모-처제
처남/형님-아내의 남동생 *형님은 남동생이 연상일경우
형님/동생/자식이름+아버지/자식이름+이모부-형님/동서
아주머니-처남댁
처삼촌-아내의 숙부


가시아버지와 가시어머니는 기사에선 호칭으로 나와있고 참고한 논문에선 지칭어로 쓰인다고 소개했는데 북한내 지역마다 다른가본지 불확실. 조선시대에도 처부모 호칭을 시부모와 동일하게 했었다. 우리와 달리 사위에게 2인칭을 쓰며, 성씨+서방은 봉건의 잔재로 간주하여 쓰지 않는다. 남한에선 기혼여성은 본인의 모친도 '친정'을 붙여 말하는데 북한에서도 친정을 쓰긴하지만 '본가 어머니/아버지'라고 부른다. 남성이 기혼 여부와 상관없이 부모집을 본가라고 하는것과 같은 모습이다. 매부가 연하일경우 이름을 부르고, 아내의 오빠인경우는 남한과 같지만 남동생이 연상이면 형님 호칭으로 존칭하는 것이 다르다. 전반적으로 아자비/아주미로 단순했던 고려시대처럼 아저씨/아주머니 사용이 폭넓으며 여성의 시가호칭이나 대우, 처가호칭도 남한에 비해 동등하다.

*남북 언어예절 비교 연구,이대성,국립국어원,2013

간도지방은 조선땅으로 일본의 눈을 피해 독립운동 전개를 위해 독립운동가들이 이주했던 곳이기도 하다. 1905년 을사늑약으로 중국에 빼앗긴 영토로 현재 연변자치주가되었다. 북한에 인접한지역.

가시집-처가집
새기-색시
노크라바이-증조할아버지
노크라매-증조할머니
아매-할머니
아바이-할아버지
아부지/아버재-아버지
어머이/어머내-어머니
아재-여자어른. 아주머니에 해당
마다바이-큰아버지
마다매-큰어머니
삼추이-삼촌
누애-누나

맏어머니가 변형된 마다매 등 북한과 비슷하면서 발음 차이가 있다. 할머니 할아버지 호칭이 부모와 비슷하다. 아재가 남성이 아닌 여성 호칭.

재일교포 1세대 친족호칭
할배-할아버지
한매-할머니
아재/큰아버지-외삼촌, 남자어른
아지매/큰어매-외숙모, 여자어른
도쿄외대 한국어과 조의성 교수

교수의 모가는 경상도출신 재일교포 1세대인데 중세시대 '한아미'가 '한매'로 보존된것으로 보인다.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적  (0) 2017.10.23
존재가 축복  (0) 2017.10.02
비 경상도 출신이 대통령 될 수 있을까  (0) 2017.05.10
한국남자  (0) 2017.04.22
한국의 나이권력  (0) 2017.04.08

설정

트랙백

댓글